728x90
1코인이 곧 1달러,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블 코인은 가치 고정형 암호화폐이다.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성이 매우 커서 화폐로 이용하기 어려운데 스테이블 코인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코인 = 1달러'를 공식화했다. 스테이블 코인은 한 개당 한 개의 법정화폐로 가격이 고정되어 있어서 동일한 물건을 동일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그렇다면 스테이블 코인으 어떻게 코인의 가격을 고정해 유지할 수 있을까?
스테이블 코인의 유형
- 법정화폐 담보형 : 스테이블 코인 발행기업이 자사 계좌에 법정화폐를 예치해 둔 만큼 코인을 발행한다. 코인의 수요가 증가해 가격이 오르면 달러를 추가 예치하고 코인을 발행해 가격을 1달러로 고정시킨다. 테더가 발행하는 USD테더와 트러스트 토큰에서 발행하는 트루USD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실제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 총량이 실제 예치금과 다르다는 논란은 잊을만 하면 발생해서 암호화폐 시장을 요동치게 만들었다.
- 암호화폐 담보형 :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대표성 있는 암호화폐를 믿을 수 있는 제3의 특정 기관에 예치하고 이를 근거로 "1비트 = 1코인"으로 발행한다. 법정화폐 담보형과의 차이는 예치 대항 화폐가 암호화폐인지, 법정화폐인지의 차이밖에 없다. 그러나 담보가 되는 암호화폐 자체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청산가격에 도달하면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메이커다오가 운영하는 다이가 대표적인 암호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이다.
- 무담보 알고리즘형 : 알고리즘을 ㅌ오해 발행한다. 담보 없이 오로지 알고리즘만으로 화폐 공급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제이의 암호화폐 발행을 병핸한다. 스테이블 코인의 공급량 증가와 감소를 조절하기 위해 서브코인을 활용한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치의 안정성을 제공하므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를 용이하게 하고, 암호화폐의 사용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자금 보관 및 운영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발행 기관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관은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과 동일한 금액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728x90
'미래의 세계를 선도할 블록체인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DC(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디지털화폐)의 진행 (0) | 2023.05.20 |
---|---|
JP모건이 발행한 JPM 코인 (0) | 2023.05.19 |
리플(XRP 토큰, 분산원장, 국제 결제) (0) | 2023.05.19 |
폐쇄형 블록체인(브라이빗, 컨소시엄) (2) | 2023.05.18 |
ICO와 IPO (0) | 2023.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