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1870~1937)는 빈에서 출생하고 자란 오스트리아의 유대계 의사, 심리치료사로서 개인심리학의 창시자입니다.
빈대학교 의학부를 졸업한 후, 러시아의 혁명가인 트로츠키의 친구인 러시아 여성과 결혼하여 친구 중에는 사회주의자가 많았고 그 자신도 사회주의자였습니다. 프로이트의 강연에 매혹되어 문하로 들어갔으나 프로이트의 범성욕설을 받아들이기 어려워 분파하여 사회 감정을 중요시하게 되었습니다. 아들러에 의하면 어떠한 형태의 사회도피 이든 모두 불건강의 징후로 보았습니다. 병약한데다, 2남이고, 형과 사이가 나빴던 데에서 출생 순위와 성격의 관계에 주목하던 중에 열등감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곧 인간은 누구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열등감을 느끼고 있으며,이를 보상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그 사람의 생활양식이 형성되어가므로, 만일 보상될 수 없는 열등감이나 과도하게 보상된 열등감이 있으면 인격의 왜곡이 생긴다고 생각하여 이를 바로잡기 위한 재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그 때문에 정신분석에 관심을 가지면서도 성욕주의를 혐오하는 교육자·사회사업가·종교가 등에게서 환영받았으며 그의 심리학을 개인심리학이라 하며 신 프로이트파 또는 상담이론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나치가 크게 득세하여 그의 유럽에서의 운신의 폭이 몹시 제한되자, 1934년에는 미국으로 이주합니다. 1937년 5월, 강연 차 스코틀랜드의 애버딘 대학교를 3주일 예정으로 찾았었는데 강연 뒤 심근경색으로 길거리에서 돌연사했습니다. 주저는〈개인심리학의 실제와 이론〉있습니다.
본론
앞서 이야기한대로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는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이며, 개인 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이라고 불리는 심리학 이론을 개발했습니다. 아들러의 이론은 행동, 개인성, 사회적 상호작용 등을 포함한 다양한 쟁점과 주장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 중 일부를 살펴보겠습니다.
- 상호의존성: 아들러는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사회적 상호의존성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인간의 동기: 아들러는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동기와 목표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개인이 가진 목표에 대한 노력과 욕구가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었습니다. 이를 통해 아들러는 개인이 사회적으로 동일성과 상호응원을 얻으려고 하는 경향을 설명했습니다.
- 마이너스 동기: 아들러는 개인이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생기는 어려움과 갈등을 "마이너스 동기"라고 불렀습니다. 그는 이러한 마이너스 동기가 개인의 행동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습니다.
- 마음의 지배력: 아들러는 개인의 행동을 지배하는 핵심적인 힘으로 "마음의 지배력"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개인이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다른 사람들과 조화롭게 상호작용하기 위해 자신의 마음을 지배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 개인 발전과 사회적 이익: 아들러는 개인의 발전과 사회적 이익 사이의 밸런스를 강조했습니다. 그는 개인이 사회적인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의미있는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결론
알프레드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목표 지향적 행동의 핵심을 강조하여 우리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개인의 동기, 마이너스 동기, 마음의 지배력, 개인 발전과 사회적 이익 등의 개념은 우리가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사회적으로 발전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개인 심리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더욱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잡다하지만 필요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자아방어기제(Self-defense mechanisms) (0) | 2023.07.13 |
---|---|
에니어그램의 성격 유형: 이해를 통한 개인 성장의 지름길 (0) | 2023.07.11 |
헤르메스와 그의 지팡이 카두케우스 : 신의 사자와 중재자의 상징 (0) | 2023.07.04 |
인공지능을 어떻게 활용할까? 컴퓨팅 사고력 (0) | 2023.06.30 |
매슬로(Abraham Maslow)의 욕구 단계설 : 인간의 동기와 성장을 이해하는 열쇠 (0) | 2023.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