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32

19세기의 고전적 자유주의와 그 이념 다음의 글은 폴 슈메이커가 지은 , 조효제 옮김, 중 chapter 2 19세기의 주요 정치 이념들을 참고한 글입니다. 서론 고전적 자유주의는 현대 자유주의의 여러 사상들에 토대를 제공했지만 오늘날 흔히 자유주의라고 이해되는 '현대 자유주의' 이념과는 분명히 구분된다. 고전적 자유주의는 '정치의 과학'을 개척하려 했던 계몽주의의 산물이었는데 흔히 홉스와 로크에 의해 시작되었다고들 한다. 당시 계몽주의 철학자들은 자연 세계를 형이상학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자연 세계에 대해 최소한의 전제만을 한 채 이성적 추론에 의거해서 정치, 사회, 경제적 사고를 진전시킬 방도를 찾았다.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은 신이 이 세상을 창조했다는 사실은 인정했지만 신이 이 세상을 완전히 좌지우지한다고는 보지 않았다. 그 대신 인간(개.. 2023. 7. 21.
알프레드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1. 개인심리학 개인심리학은 오스트리아의 비엔나에서 태어난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에 의해 창시되었다. 아들러는 1902년부터 프로이트와 함께 연구하면서 비엔나 정신분석학회 회장으로 활동하였으나 아동기 초기의 성적 갈등이 정신질환을 초래한다는 프로이트의 이론을 비판하면서 1912년에 개인심리학회를 창설하였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을 자아, 초자아, 원초아로 구분하고 인간은 갈등에서 벗어날 수 없는 존재라고 보았으나, 아들러는 인간의 특성을 갈등의 관계로 보지 않았다. 아들러는 인간을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생활양식에 의해 전체성과 통일체를 형성하는 존재로 보았다. 그리고 개인의 분리될 수 없는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자신의 연구를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 2023. 7. 16.
칼 로저스 인간 중심 상담 서론 : 인간 중심 상담 인간중심상담은 1930~1940년대에 미국의 심리학자인 칼 로저스(Carl Rogers)의 이론에 근거하여 발전된 상담 이론이다. 로저스는 정신분석상담이 인간의 본능적 욕구를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상담자가 진단적이고 해석적이며 지시적인 태도를 취하는 데 반대하였다. 또한 행동주의 이론이 인간의 행동을 자극에 대한 반응(기계주의)으로 지나치게 단순화한 측면을 비판하였다. 그래서 이 두 이론을 대체할 새로운 이론으로 인본주의에 기반을 둔 비지시적인(후에 내담자 중심 상담 -> 인간 중심 상담) 인간 중심 상담을 주장하였다. 로저스는 정신분석상담이 인간의 생물학적 본능을 강조하고 인간을 어린 시절에 억압된 무의식의 희생자로 보는 것을 반대하였고 행동주의 상담에서처럼 인간을 외부 자극에 .. 2023. 7. 15.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성격 발달 단계 서문 : 성격 발달 프로이트는 쾌락을 주는 성적 추동 에너지(리비도)가 신체의 어느 부위에 집중되는가에 따라 발달의 단계를 명명하였다. 프로이트가 말하는 성이란 단순히 성교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쾌감을 주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삶의 본능이나 성적 본능을 지니고 있는 리비도는 출생 직후 먼저 입에 집중되며, 점차 성숙해감에 따라 항문과 생식기 등의 다른 신체 부위로 옮겨간다. 즉 인간의 성격은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성기기의 다섯 단계를 거치면서 발달해 간다. 이러한 심리성적 발달 단계에 의하면 개인의 성격은 출생이후부터 약 6세에 해당하는 유아기 동안의 경험들에 의해 기본구조가 형성되며 그 후 정교화 과정을 거치면서 발달해 나간다. 각 발달단계에서 추구하는 욕구가 적절하게 충족되면 다.. 2023. 7. 14.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자아방어기제(Self-defense mechanisms) 서론 : 자아방어기제란? 모든 인간은 기본적으로 불안이 존재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인간은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합니다. 자아가 불안을 의식적인 수준에서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다룰 수 없게 되면 무의식적으로 현실을 거부하고 왜곡하는 방어기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현실을 왜곡하면서 작용합니다. 자아방어기제는 자아가 불안에 압도되지 않고 극복하여 자아를 보호하고자 하는 기능으로 실패에 대처하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소도 있지만 방어기제를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사용하여 현실을 회피하는 생활양식이나 성격 특성으로 고착될 때는 성장을 방해하는 정신병리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자아방어기제는 억압.. 2023. 7. 13.
728x90